티스토리 뷰
목차
청약통장만 있으면 다 똑같이 청약할 수 있을까? 그렇지 않습니다.
청약은 크게 국민주택과 민영주택으로 나뉘며, 청약 조건, 당첨 방식, 공급 주체 등 여러 가지가 다릅니다.
나에게는 국민주택 청약이 나을지, 민영주택 청약이 유리할지. 그 조건과 가점 차이를 정리하였습니다.
내게 유리한 청약 전략을 지금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.
💥 함께 보면 좋은 정보글 💥
👉 청약통장 가입은 빠를수록 유리합니다.
2025 주택청약종합저축통장 가입조건과 혜택
주택청약종합저축통장은 국민주택과 민영주택 청약을 모두 할 수 있는 유일한 청약통장입니다. 내 집 마련의 첫걸음이자 가장 확실한 준비 방법입니다. 주택청약을 고려 중이시라면, 지금 바로
bsally300.jsally100.com
👉 청약 1순위 조건을 확인하셨나요?
청약 1순위 조건
내 집 마련의 첫걸음은 바로 청약 1순위 자격을 갖추는 일입니다. 청약은 누구나 신청할 수 있는 것이 아니며, 1순위 조건을 충족해야 당첨 가능성이 높아집니다. 이번 글에서는 청약 자격, 순위
bsally300.jsally100.com
🔶 국민주택이란?
- 공공기관(LH, 지자체 등)이 짓는 주택
- 전용면적 85㎡ 이하(수도권 제외 읍·면 지역은 100㎡ 이하)
- 무주택 서민과 저소득층을 우선 공급
- 청약 가점제 100% 적용
예를 들면,
- 공공분양 아파트 (LH 국민임대, 행복주택 등)
- 공공주택 특별공급 (신혼부부, 다자녀 등)
🔶 민영주택이란?
- 민간 건설사(대우, 삼성, 현대 등)가 짓는 아파트
- 면적 제한 없음 (대형 평형도 포함 가능)
- 소득제한 X, 자산기준 X → 일반 국민 누구나 신청 가능
- 청약 가점제 + 추첨제 병행
예를 들면,
- 대단지 브랜드 아파트 (자이, 래미안, 힐스테이트 등)
- 민간분양 아파트 (일반 공급 중심)
🔶 국민주택 vs 민영주택 청약 조건 비교표



항목 | 국민주택 | 민영주택 |
공급 주체 | LH, SH 등 공공기관 | 민간 건설사 |
전용면적 | 85㎡ 이하 (예외 있음) | 제한 없음 |
청약통장 요건 | 가입 1년 이상 + 12회 이상 납입 | 지역별 가입기간 (수도권 1년/지방 6개월), 납입액 기준 |
청약 방식 | 가점제 100% | 가점제 + 추첨제 |
소득·자산 제한 | 있음 (공공특공의 경우) | 없음 (일반공급 기준) |
당첨 기준 | 무주택 기간, 부양가족 수, 통장 가입기간 등 가점 중심 |
가점 + 추첨 (가점 낮아도 기회 있음) |
우선공급 | 무주택 세대주 우선 | 지역 거주자 우선공급 |
🔶 어떤 청약이 나에게 유리할까?
◼️ 무주택자 + 청약 가점이 높다면?
👉 국민주택(공공분양) 추천!
가점제 100%이므로 점수로만 당첨 여부 결정됩니다.
무주택 기간이 길고 부양가족이 많을수록 유리해요.
◼️ 가점이 낮고 추첨을 노린다면?
👉 민영주택에 도전해 보세요!
가점이 낮더라도 추첨제 비중이 있어 기회가 있습니다.
또한, 브랜드 아파트나 대형 평수도 선택 가능합니다.
구분 | 국민주택 | 민영주택 |
핵심 조건 | 공공분양, 무주택 서민 우선 | 브랜드 아파트, 일반 공급 |
청약 방식 | 가점제 100% | 가점제 + 추첨제 |
유리한 조건 | 무주택 기간 길고 부양가족 많은 경우 | 가점 낮고 운에 기대는 경우 |
🔶 자주 묻는 질문
Q. 두 주택 모두 동시에 청약 신청할 수 있나요?
A. 불가능합니다.
동일한 청약 일정일 경우 하나만 선택해서 신청해야 하며, 중복 청약 시 모두 무효 처리됩니다.
Q. 청약통장 하나로 두 종류 다 신청할 수 있나요?
A. 네
주택청약종합저축은 국민주택과 민영주택 모두 청약 가능한 범용 통장입니다. (단, 예전 '청약저축' 또는 '청약예금'은 제한이 있음)